본문 바로가기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자격 조건 가입 제출서류 알아봤어요

drian9 2020. 10. 29.
반응형

주택청약 가점제 시행 후 젊은 층은 청약이

불리한데 청년이 대형 주택청약통장은

이를 보완하고자 나왔습니다.

주택청약 종합저축 기능에 재형 기능을

올려 우대금리와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등을

제공하는 말 그대로 우대 통장입니다.

주택청약 종합 저축과 기존 청약통장의 종류

금융기관별 청약 안내

구분

주택청약, 종합저축

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

대상 주택

국민주택/민영주택

국민주택

민영주택

전용면적 85㎡ 이하

민영주택

가입 가능은행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기업, 국민, 대구, 부산, 경남

신규 가입 중단 (2015년 9월 1일부터)

가입대상

국내 거주자인 개인

(연령, 자격 제한에 관계없음)

무주택 세대의 세대 주 및

(세대주의) 세대원으로

1인 1계좌 가입 가능

만 19세 이상의 개인

적립방법, 저축금액

매월 2만 원 이상 50만 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일시 납입 가능)

매월 2만 원 이상 10만 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매월 일정액 불입)

일시불 예치

매월 5만 원 이상 50만 원

이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매월 일정액 불입)

 

 

2018년 7월 31일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이

출시되었으며 가입 가능 기간은 한시적으로

2021년 12월 31일까지 한시적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통장 개설 가입연령은 만 19세~만 34세

(병역 기간 최대 6년 인정)로 제한입니다.

전년도 신고소득이 있고 연 소득 3천만 원 이하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프리랜서, 일용직, 아르바이트를 포함해 비근로

소득자 신고소득도 인정됩니다.

무주택이면서 가입 후 3년 내 세대주 예정자와

무주택세대의 세대원도 가입하실 수 있어요.

 

 

주택청약종합저축과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혜택 비교입니다.

구분

주택청약종합저축

청년우대형청약통장

비과세

혜택 없음(이자 소득세 14% 부과)

이자소득 500만 원까지 비과세

소득공제

연간 240만 원 내에서 40% 공제

소득공제 혜택을 기존 청약 기능과 함께 유지하며

3.3%의 높은 이자와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500만 원)까지 주어집니다.

일반 청약 통장과 마찬가지로 월 2만 원~50만 원까지

원하는 데로 납입 가능하며 현재 주택청약통장의

이자율 1.8%(2년 이상 가입 시)에 우대이율

(1.5% P, 최대 5천만 원)을 더해 최대 10간

지급합니다.

주택 도시 기금을 재원으로 우대금리를 지원하는

상품으로 누구나 가입이 가능 한건 아니에요.

 

 

주택청약 종합저축과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이자율 비교

구분

주택청약 종합저축

청년 우대형 청약 통장

1개월 초과~1년 미만

연 1.0%

연 2.5%

1년 이상~2년 미만

연 1.5%

연 3.0%

2년 이상~10년 이내

연 1.8%

연 3.3%

10년 초과

연 1.8%

연 1.8%

자격 조건 및 가입 기간 알아봤습니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자격 조건 및 가입 기간

구분

조건

나이

만 19세 이상~만 34세 이하: 기존엔 만 19세~만 29세 이하였으나 19년 1월 2일부터 대상 연령 확대

병역 이행 기간 최대 6년 인정: 병역 증명서에 의한 병역 이행 기간이 증명되는 경우 현재 연령에서 병역이행 기간

(최대 6년) 을 제외하고 계산한 연령이 만 34세 이하인 자 포함

소득

연 소득 3천만 원 이하: 직전연도 신고소득 있는 자

주택 소유 여부

무주택 세대주, 무주택 가입 후 3년 내 세대주 예정자, 무주택 세대의 세대원

가입 가능 기간

2018년 7월 31일 ~2021년 12월 31일

 

 

무주택자 중 세대주와 무주택 세대원만 가입자격이 주어집니다.

1. 본인이 무주택인 세대주입니다.

2. 본인이 무주택이며 가입 후 3년 내 세대주 예정자

3. 무주택 세대의 세대원

단. 1, 2의 세대주는 3개월 이상 유지하셔야 합니다.

지금 현재 부모님 집에서 거주하고 있어도 3년 내

이직 또는 결혼 등으로 전셋집으로 이사 갈 계획이

있는 무주택자 가능입니다.

소득 조건 3천만 원 이하로 직장인 및 사업소득 및

기타소득이 있는 사람도 대상이고 프리랜서, 1인 창업자

학습지 교사 등도 이에 해당됩니다.

 

 

가입 제출서류 알아봤어요

-소득증빙

기본: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및 과세 특혜

신청용 소득 화인 증명서

그 외: 원천징수 영수증(근로, 사업, 기타소득) 등

1. 본인이 무주택인 세대주인 경우: 주민등록 등본 최근 3개월 내 발급분

2. 본인이 무주택이며 가입 후 3년 내 세대주 예정자: 해당 없음

3. 무주택세대의 세대원: 주민등록등본 최근 3개월 내 발급 분,

세대원 전원의 지방세 세목별 과세 증명서

1, 2의 경우 세대주를 3개월 이상 유지했음을

입증해야 합니다.

병적증명서(해당자), 각서(양식 제공), (비과세 신청 시)

비과세 신청자용 각서 및 정보제공 동의서 (양식 제공)

취급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

신한은행, 하나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경남 은행

반응형

댓글